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님의 위패, 신주가 있어 제사를 지낼 때면 위패를 모셔서 지냈는데요, 요즘엔 위패가 없는 집이 대부분이라서 제사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지방을 쓰고 제사를 지냅니다.
해마다 설이나 추석이 되면 차례상을 차리고 지방을 쓰는데요, 차례상차림은 지방마다 가문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지방쓰는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지방쓰는법은 기제사 때나 차례 때나 같으니 아래 내용 참고하셔서 지방 써보시기 바랍니다. 지방에 쓰는 한자와 뜻, 지방쓰는법 총정리 해 드리겠습니다.
1. 지방이란?
먼저 지방의 뜻부터 알려 드릴께요~!! 지방은 제사상의 주인을 뜻합니다. 즉,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말하는데요, 영정이 있으면 영정만 놓아도 되지만 영정이 없으신 경우 지방쓰는법에 따라 지방을 쓴 후 제사상 제일 위에 올려놓으시면 됩니다.
2. 지방의 규격
지방의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로 된 한지에 한자를 붓글씨로 쓰는데요, 요즘엔 A4 흰 용지를 잘라 사인펜이나 볼펜 등 검색은 펜을 사용하여 한글로 적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방을 쓸 땐 세로쓰기로 쓰고, 제사를 한 분만 모신다면 한 분만, 두 분을 모신다면 왼쪽은 남자조상, 오른쪽에는 여자조상을 쓰면 됩니다. 부모님을 쓸 경우 아버지를 좌측에, 어머니를 우측에 적으시면 되겠죠?
3. 지방한자의 의미
고(考) : 돌아가신 아버지를 일컫는 말
비(妣) : 돌아가신 어머니를 일컫는 말
학생(學生) : 벼슬하지 않은 일반인을 일컫는 말, 벼슬한 경우에는 관직명을 씁니다.
유인(孺人) : 죽은 부인을 일컫는 말
부군(府君) : 돌아가신 아버지 혹은 돌아가신 조상을 존칭하는 말
아버지 - 현고(顯考) / 조부 - 현조고(顯祖考) / 증조부 - 현증조고(顯曾祖考)
어머니 - 현비(顯妣) / 조모 - 현조비(顯祖妣) / 증조모 - 현증조비모(顯曾祖妣)
남편 - 현벽(顯辟) / 아내 망실(亡室) 또는 고실(故室) / 자식 - 망자(亡子) 또는 고자(故子)
형 - 현형(顯兄) / 형수 - 현형수(顯兄嫂) / 동생 - 망제(亡弟) 또는 고제(故弟)
4. 직위
지방을 쓸 때 벼슬이 있으면 그 관직을 적고, 벼슬이 없으면 남자는 학생(學生), 그 부인은 유인(孺人)이라 씁니다.
5. 이름
남자는 부군(府君), 여자는 본관과 성씨를 씁니다. 자식이나 동생은 이름을 씁니다.
6. 고조부모, 증조부모모 지방 양식입니다.
6대 조부모님에서부터 위 조상님들은 묘에서 시제를 올리므로 차례 또는 기제사를 지내지 않습니다.
그래서 부모님으로부터 고조부모님까지만 지방쓰는법을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7. 위 지방은 조모 및 숙부, 부모, 형 등 윗사람 제사 지방쓰는법입니다.
8. 위 지방은 남편, 아내, 동생, 제수 등 손아랫사람 지방쓰는법입니다.
<출처 : 네이버 설 정보 페이지>
지방쓰는법에 무조건 한자를 써야 한다는 것은 없다고 합니다. 물론 옛 전통을 따름에 있어서 한자로 적어주는 것이 좋다고는 하지만 한자가 생소하시다면 한글로 작성하여 주셔도 된다고 하니 참고하셔서 지방 써보시기 바랍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노 피자 50% 쿠폰 1월 총정리 (0) | 2017.01.09 |
---|---|
세계지진순위 역대최고지진은? (6) | 2017.01.09 |
뾱뾱이(뽁뽁이) 사용법 다양하게 활용하기 (0) | 2017.01.07 |
김해공항 주차요금 알아보기 (0) | 2017.01.05 |
신한생명 무료운세 및 2017년무료토정비결 (0) | 2017.01.05 |